이동 삭제 역사 ACL 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리얼뉴스]]의 페미니스트가 주장한 ‘이퀄리즘’ 날조 사건의 진실 사실확인 === ##이문단의 생성은 토론으로 합의되었습니다. https://namu.wiki/thread/TheCuddlyAndCynicalFly 2017년 4월, [[리얼뉴스]]에서 이 사건 자체가 페미니스트의 날조이며 이퀄리즘은 존재한다는 요지의 [[http://www.webcitation.org/6uFTT7Fl0|카드뉴스]](원본 삭제됨.)를 보도하였다. 해당 카드뉴스는 페이스북 페이지 꿀빠니즘의 진실에도 업로드되었다. [[http://m.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97&stype=subject&svalue=%EC%9D%B4%ED%80%84%EB%A6%AC%EC%A6%98&sterm=9280052&l=733695|원본 삭제로 퍼간 곳 링크]] 그러나 이 카드뉴스는 의도적으로 불리한 사실을 누락하거나 왜곡하였으며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를 근거로 사용하는 등 사실관계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는 비판을 받아 리얼뉴스 및 페이스북 페이지 양측에서 사라졌다. 카드뉴스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한국의 페미니스트들은 이퀄리즘이 성평등을 반대하는 한국남자들이 만든 허구에 불과하다고 나무위키와 페미위키를 인용하며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사실이 아니며 이퀄리즘은 실존할 뿐 만 아니라, 페미니즘과 이퀄리즘은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오히려 페미니스트들이 이 이퀄리즘이 한 명의 누리꾼이 날조한 것이며 2016년 7월경 본격적으로 디시인사이드에서 퍼져나간다고 '날조를 날조'하였고, 이를 진보언론들이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퀄리즘'을 언급하는 유튜버와 단체 등을 언급하며 페미니스트들이 감춘 '이퀄리즘의 존재'를 밝힌다. 그리고 나무위키에 이러한 한국 페미니스트들의 '허위주장'이 실릴 수 있는지에 대하여 ''개나 소나 올릴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거짓선동'을 한 계기는 지금 페미니즘이 여성 우월주의이기 때문이며, 이를 근거로 마일로 이아노풀로스(Milo Yiannopoulos)가 브레이트바트지에서 "여성은 페미니즘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지금의 페미니즘을 완전히 거부한다"라고 발언한 내용을 사용한다.[* 그러나 그에 대한 출처를 리얼뉴스에서 명시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런 날조를 날조하는 일이 들키지 않을것 같았냐며 한국의 페미니스트를 비난하면서 Betsy Cairo, TEDxMileHighWomen의 Why I am not a feminist로 끝마친다. 해당 카드뉴스의 문제점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나무위키의 본 문서는 '이퀄리즘'이라는 '단어 자체'가 나무위키에서 창조되었다고 주장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18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 이퀄리즘이라는 단어가 존재했음을 먼저 밝힌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이퀄리즘은 나무위키에서 말하는 '페미니즘을 거부하고 나온 새로운 젠더 이념'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김철수라는 허구의 인물을 내세워 사기를 치는 것에 대해 김철수라는 동명이인을 데려와서 김철수가 여기 있으니 사기가 아니라는 것과 같다. 리얼뉴스가 이퀄리즘이 존재한다는 증거로 가져온 Human For Equalism 사이트, 유튜버 aastha의 경우 실제 그들의 홈페이지 및 영상을 체크해 봤을 때 그들의 이퀄리즘은 본인들 스스로가 '''Egalitarianism'''의 동의어로 사용한 것이며 그 내용이 한때 나무위키에 등재되었던 '젠더 이퀄리즘''과 전혀 일치하지 않고 있다. 결론에선 아예 안티페미니즘([[https://www.youtube.com/watch?v=XD65wnDGuTg&feature=youtu.be|재니스 피아멩고의 반페미니즘 선언]] 및 [[http://womenagainstfeminism.com/|우먼스 어게인스트 페미니즘 사이트]])을 가져와서 그들이 한 번도 '이퀄리즘' 따위를 주장한 적 없는데 이퀄리즘의 존재를 주장하는 기사에 사용하였다. 이는 마지막에 인용된 영상도 마찬가지다. 해당 TEDx 영상은 페미니즘이라는 단어가 성중립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퀄리즘으로 이름을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H50eCfpquBI|원본]]] 따라서 리얼뉴스는 이 사건이 페미니스트들의 날조이며 정말로 해외에서 "젠더 이퀄리즘"이 유행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그러한 근거는 앞에서 보았듯 영문명만 같은 다른 사상을 가져와 반박한 논리적 오류에 불과하다. 뿐만 아니라 진보언론이 맹목적으로 "지지"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이들은 [[한국경제]]나 [[머니투데이]] 등 보수경제지가 이 사건을 보도한 사실을 빠트렸으며 페미니즘이 몰락하고 있다는 근거로 유명 [[대안 우파]] 언론 브라이트바트와 브라이트바트 전 편집장 [[마일로 야노풀로스]]를 인용하였다.[* [[https://www.nytimes.com/2017/08/16/magazine/breitbart-alt-right-steve-bannon.html|WIL S. HYLTON, Down the Breitbart Hole <New YorkTimes Magazine>]]]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9.255.255)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